-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가신신앙, 동제, 무속 등의 민간에서 전해오는 믿음. 집과 가정을 수호해 준다고 믿는 가신(家神)을 모시는 신앙이다. 마루에는 성주신, 부엌에는 조왕, 안방에는 조상신, 삼신, 집터를 지킨다는 터줏대감, 변소에 있는 측신 등이 있다. 『칠곡군의 문화유산 조사 및 문화진흥계획』에 따르면, 칠곡군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만 가신신앙이 희미하게 명맥을 유지하...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집과 가정의 수호를 위해 가신(家神)을 모시는 신앙. 마루에는 성주신, 부엌에는 조왕, 안방에는 조상신, 삼신, 집터를 지킨다는 터줏대감, 변소에 있는 측신 등이 있다. 집안을 지키는 신으로 먼저 성주신을 들 수 있다. 성주신은 집을 지켜 보호해 주는 가신 가운데 최고의 신으로 집을 새로 짓거나 옮긴 뒤에 ‘성주받이(성주굿)’를 하고 성주를 받아들여...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출산과 아이의 성장을 관장한다고 믿는 집안의 신. 삼신은 출산과 아이의 성장을 관장하는 신으로 ‘삼신할매’라고도 한다. 여신(女神)이어서 성미가 맵다고 하여 특히 조심하였다. 칠곡군 가산면 가산1리 북창마을에서는 삼신과 ‘웃줄할매’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대체적으로 북창마을 주민들은 삼신할머니를 조상할머니가 좌정한다고 믿고 있었으며 ‘웃줄할매’라는 용어...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가족의 안녕을 관장하는 집안의 신. 성주 신은 집을 지키고 보호해 주는 집안의 최고신으로, 집을 새로 짓거나 옮긴 뒤에는 ‘성주받이’ 굿을 하고 성주를 모셨다. ‘성주단지’를 마루에 모시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가족들이 성주 신의 보호를 받는다고 믿고 있다. 성주 신에게는 정월 대보름이나 2월 초하루에 성주상을 차려 놓고 비손을 한다. 성주단지를 마루...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시준단지’에 햇곡식을 갈아 넣어 모시며 가족의 안녕을 비는 가신(家神) 신앙. 햇곡식이 나면 시준단지(우쭐단지)가 있는 집에서는 이곳에 가장 먼저 깨끗한 나락을 골라서 갈아 넣고 묵은 쌀로 떡을 만들어 식구들이 먹는다. 가을이 되면 성주단지와 삼신할매단지에 제일 먼저 햇곡식을 갈아 넣는다. 가정에 따라서 쌀을 넣기도 하고 나락을 넣기도 한다. 칠곡군...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시월이나 정월에 가신(家神)을 모시고 가정의 안녕과 번영을 비는 무속 제의(祭儀). 대개 농한기인 시월이나 정월에 많이 하는데 추수를 마치고 햇곡으로 제물을 준비하여 성주, 지신, 조상, 제석, 조왕 등 가신에게 가정의 행복과 번영을 빈다. 6·25전쟁을 전후로 잘 하지 않는다. 안택은 주로 10월에 많이 하며 무속인을 데려와서 굿을 한다....
-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부엌을 관장한다고 믿어지는 신(神). 조왕신은 집안의 부엌을 맡아보는 신으로, 살림과 자식을 불게 해주고 재수를 부른다고 여기며 무엇이든지 다 이루어 준다고 한다. 평소에는 종지에 물을 받아 놓고 물을 갈아주는 것으로 조왕을 모시기도 한다. 음력 정월 대보름, 2월 초하루 등에 간단한 음식을 차려 부엌에서 비손을 한다. 과거에는 종지에 물을 떠놓고 빌...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에 있는 화봉에서 지내는 고사(告祀). 석우리는 원래 구미시 장천면에 속해 있다가, 1987년 1월 1일에 칠곡군 가산면에 속하게 되었다. 석우리에 있는 화봉(火峯) 혹은 ‘소금재봉’[鹽峯]이라고 하는 곳에 묻어 둔 소금 단지에 3년마다 한 번 씩 소금을 갈아 넣어 마을의 화재를 방지한다. 소금단지를 묻는 풍습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
-
경상북도 칠곡군의 각 마을 주민들이 한 해의 안녕과 풍년 농사 등을 비는 마을의 제사. 칠곡군의 경우, 1994년 칠곡군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동제가 완전히 없어진 곳은 약목면이며, 왜관읍 2개소, 지천면 4개소, 동명면 8개소, 가산면 5개소, 석적읍 4개소, 북삼읍 5개소, 기산면 2개소 등 30여 마을에서 전승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계속 줄어들고...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북창마을의 산신제. 정월대보름 날에 가산리 북창마을에서는 산신제와 동제를 모신다. 산신 제단은 마을 뒤에 있는 두길 정도의 바위이고, 당신(堂神) 제단은 당나무와 조산이마을 입구에 있다. 예전에는 제관(祭官)으로 3명을 선임하였으나 현재는 1명을 선임한다. 걸립으로 긴 대나무 끝에 소나무 가지를 매단 천왕대를 갖고 천왕을 받아 천왕이 지정해...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3리 강진마을의 동제. 강진마을에서 모시는 동제로 산신제와 당제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뒷산에 산신당이 있고, 마을 앞에 당나무인 떡 버들나무가 있다. 상당은 금오산 자락의 마을 북쪽 소나무 숲에 산신을 모시는 제단이 있으며, 하당은 골맥이 당으로서 남쪽의 마을 입구에 떡 버드나무로 된 당나무가 있다. 제관은 정월 초엿새나 초이레에...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마을의 동제. 송림사 입구에 위치한 송림마을의 동제로서 제관의 선정, 제수의 장만, 제의 절차 등 전반적으로 간소하게 모시게 되었다. 당나무 앞에 고형으로 여겨지는 토벽 기와집의 작은 당집이 있다. 문은 판장문이 달려 있다. 당집의 내부에는 중앙에 나무판 위에 위패함이 자리를 잡고 있다. 좌측 벽에는 초롱 등이 달려 있다. 초...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2리 가좌마을의 동제. 신당은 상당, 하당, ‘거리’ 세 곳에 있다. 상당과 하당에는 돌이 있다. 정월 초 5일 ‘거리’에서 고유를 한 후, 농기를 갖고 천왕을 내린 후, 처음 지정한 집은 상당의 제관(祭官), 두 번째 지정한 집은 하당의 제관이 된다. 천왕기는 하당 제관의 집에 두었다가 보름에 받은 곳으로 환송하며, 신을 받을 때는 “천왕,...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남창마을에서 이세재를 신으로 모시는 동제. 이세재(李世載)는 1698년(숙종 20) 11월 20일에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여 왜관(倭館) 수리 및 전정(田政)에 관한 사무와 1700~1701년에 행한 가산산성 축성 때문에 임기가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임해 있다가 1701년 2월 8일 예조참의로 전임되었다. 1708년(숙종...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의 동제. 가산면 다부리에서 지냈던 마을 제사로 폐절되어 오래전부터 모시지 않는다. 마을 앞에 여러 그루의 느티나무를 모셨는데, 원래는 오래된 소나무였으나 죽은 후 다시 심었다고 한다. 유교식으로 지냈는데, 제관(祭官)은 음력 정월 12일, 13일에 제관 1명, 수전(修奠, 제수를 장만하는 사람) 1명을 생기복덕(生氣福德)을 봐서...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도개2리 배리밭마을의 동제.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모시던 배리밭마을의 동제이다. 산신제와 동제로 이루어져 있다. 산신제를 먼저 모시고 다음에 동제를 모셨다. 지금은 사찰인 삼학사에 동제를 맡겼다. 산신당과 동제당은 마을 입구에 있는데, 산신당은 소나무이며, 동제당은 조산과 당나무(느티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조산은 원추형으로 높이 1m 정도이며...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고지터마을의 동제. 동명면 득명리 고지터마을에서 마을의 안가태평을 위해 지내는 제사로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마을 뒤에는 ‘웃당’, 마을 앞에는 ‘아랫당’이 있다. 음력 정월 초 3일에 풍물을 치며 ‘농자천하지대본야(農者天下之大本也)’라고 쓰여 있는 천왕기(天王旗)를 들고 웃당에 가서 천왕 내림을 하여 천왕이 지정하는 집이 그 해...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본동마을의 동제. 매년 음력 정월 보름 새벽에 지내며, 마을의 안녕과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다. 제사를 모신 후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음복을 하며 화합을 다진다고 한다. 마을회관 길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느티나무 1그루와 소나무 1그루로 구성되어 있다. 정월 초 3일에 천왕(天王)을 받아 천왕이 지정하는 집의 내외가 제관(祭官)이 된...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의 동제. 음력 정월 보름 마을 주민들이 모시는 동제이다. 마을 입구에 조산과 당나무[槐木, 홰나무]가 있다. 현재의 당나무는 1960년대 고목이 벼락을 맞고 뿌리에서 새로 돋아난 것이라고 한다. 제관(祭官)은 상주가 아닌 사람으로 생기복덕(生氣福德)이 맞는 노소(老少) 2사람을 선임하여 상제관(上祭官)과 하제관(下祭官)으로 둔다. 13일 새...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보손리 보시이마을의 동제. 매년 동짓날 밤 12시경에 동제를 지내며, 이튿날 아침 마을사람들이 모여 마을 회의를 열고 음복을 한다. 보시이마을 중간에 위치한 당목이다. 수종은 느티나무로 수령은 약 200년이다. 당목 주변에 별도의 제단은 없으며, 당목에 금줄이 둘러져 있다. 마을의 임시총회에서 제관(祭官) 1명, 주판(廚判: 제수를 장만...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리 대치마을의 동제. 대치 동제는 한 때 중단되었다가 마을에 나쁜 일이 자주 생겨서 새로 모시기 시작하였다. 원래의 큰 나무는 없어지고 새로 움튼 나무가 자라서 지금의 당나무가 되었다. 예전에는 풍물을 치며 ‘천왕을 받는다’고 하여 ‘신대(대나무)’를 들고 다니며 제관을 선정하였지만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고 한다....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산 3리 옻밭골마을의 동제. ‘천왕제’라고도 부른다.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동제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예전에는 ‘대를 받아서’ 제관을 정했으나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송산 3리 옻밭골마을의 교회에서 200m 정도 떨어진 북쪽 뒷산 구릉에 위치하며, 상당(上堂)과 하당(下堂) 두 곳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당은...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먹골마을의 동제. 먹골마을의 서편, 마을 뒷산의 간이상수도 시설 옆에 위치한다. 상당과 하당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당과 하당은 20~30m 정도 떨어져 있다. 상당은 ‘할배당’, 하당은 ‘할매당’이라 부른다. 상당에는 고사된 팽나무 3그루가 있으며, 한지를 끼운 금줄을 두 나무에 걸쳐 둘러놓았다. 별도로 마련된 제단은 없다. 하당...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율리 안배미마을의 동제. 느티나무 당목이다. 당나무에 금줄을 둘러쳐 놓았고, 나무 앞에 시멘트 제단을 두었다. 주변은 돌과 시멘트로 축대를 쌓아 놓았다. 매년 동짓날 밤 자정에 제사를 모신다. 제관(祭官)은 깨끗한 사람으로 선출하여 제사를 주관하게 하며, 동제의 경비는 마을 공동소유의 논에서 나온 소출로 장만한다. 제사는 유교식으로 진행되며 호주별...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중지리 창마마을의 동제. 음력 정월 보름에 석적읍 중지리 창마마을에서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기 위해 제를 지낸다. 마을 뒷산에 소나무 한 쌍이 있다. 예전에는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10일에 제관(祭官)을 정했으나 1990년대부터 노인 세분이 맡아서 한다. 14일에 제단과 각 가정에 황토를 뿌리고 금줄을 친다. 제수는 떡, 밥, 실과, 탕,...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사기점마을의 동제. 사기점마을 위에 있는 창평지로 가기 전 좌측의 골목길로 접어들면 길옆에 있다. 당산(堂山)은 ‘포구나무(팽나무)’ 1그루, 조산 1기, 입석 8기로 이루어져 있다. 조산은 원추형으로 금줄을 둘렀다. 북동 편에서 조산의 안쪽으로 들어간 형태의 제단을 설치했다. 밑바닥이 약 3.5m, 높이가 약 1.5m로 상부에는...
-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포남리 서편마을의 동제. 석적읍사무소에서 포남1리 마을회관 방향으로 진행하여 갈림길로 들어서 약 100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당목인 왕버들나무는 수령이 약 200년이며, 별도의 제단은 없으며 북쪽을 향하여 제를 모신다. 매년 정월 14일 저녁 6시경에 동제를 모신다. 생기복덕(生氣福德)을 봐서 제관(祭官)을 정하는데 부부가 제관이 된...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산리 원정마을의 동제. 원정마을 남동쪽 끝단에서 아래로 난 길을 따라 200m 정도 가면 느티나무인 당목이 있다. 당목 옆에는 조산인 당산이 있는데 밑바닥이 약 7~8m, 높이 약 2.5~3m이다. 정상부에는 약 1m 크기의 돌을 세워 두었으며, 앞에는 시멘트 제단이 있다. 알려진 바로는 칠곡군 내에서 가장 큰 조산이다. 지금은 폐절되...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황학리 황학마을의 동제. 암당과 숫당 2개의 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당은 황학마을 쉼터에 있는데 입석 1기, 느티나무 3그루, 포구나무 1그루로 이루어져 있다. 당목 앞에는 시멘트로 만든 제단이 있다. 숫당은 암당에서 남동쪽 계곡을 건너 산비탈에 있다. 숫당은 돌무더기 형태의 당산이며, 원추형의 조산과 모습이 다르며, 돌무더기 속으로 계단을 형성...
-
경상북도 칠곡군 지역에서 가뭄이 계속되면 천지신명께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제사. 가뭄이 심하면 마을 단위의 기우제를 올리기도 하고, 한 고을의 기우제를 올리기도 한다. 현재 여러 가지 수리 시설을 이용한 관개농업과 상수도의 보급에 따라 기우제는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칠곡 지역에서 유학산 기우제, 서진봉 기우제 등이 널리 알려진 기우제였으나, 지금은 행해지...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보손리 농바우에서 행하던 기우제. 북삼읍 보손리에 있는 서진산(棲鎭山)에서 가뭄이 심하게 들면 마을 주민이 모두 참여하는 기우제를 올렸다고 하는데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기우제를 지내는 3일전부터 주민 모두가 부정한 일을 피하고, 목욕을 하고 옷을 깨끗이 갈아입고 제단의 주위의 풀을 깎고 황토를 뿌리고 농기를 세운다. 제수는 소를 잡아서...
-
경상북도 칠곡 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하여 전승되는 종교 대개 병굿이나 재수굿을 할 때는 굿하는 날을 받고 전날부터 부정을 막기 위해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려 집안을 정화한다. 집안의 모든 식구들이 근신을 하며, 특히 주부는 목욕재계를 한다. 굿을 하기 전에 무당은 주문을 외우며 소금을 집안 구석구석에 뿌려 부정을 가신다. 무당이 행하는 굿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나 칠곡...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창리 남창마을에서 지냈던 빗신굿. 가산산성을 축조한 이세재(李世載)를 신격화하고 마을의 풍년과 무사태평을 기원하기 위해 10년에 한 번 씩 지냈던 별신굿이다. 마을 사람들은 ‘비신’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빗신굿’이라고도 한다.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1698년(숙종 20) 11월 20일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한 이세재가 가산산성...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에 있는 동신당.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2리 법성 마을회관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홰나무 1그루와 당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황당의 후면에는 얕게 돌담을 둘렀으며 전면은 도로를 마주보고 있다. 당집은 토벽와가의 건물이며, 전면에 판장문을 단 우진각지붕 형식의 당집이다. 비교적 큰 규모의 당집으로 보존관리 상태가 매우 좋다. 정...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백운리에 있는 솟대. 솟대의 일종으로 추정된다. 긴 장대 위에 새[鳥] 모양의 조각상을 올려놓았다. 마을의 모습이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배’ 형상이어서 거룻대를 세웠다고 한다. 거룻대는 약 10m 길이의 쇠막대 위에 새 모양의 쇠로된 조각상을 올려놓았다. 예전에는 나무로 거룻대를 만들었는데, 수년마다 한 번씩 거룻대가 낡으면 정월 보름에 새로 깎아...
-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만든 산’으로 원추형의 돌무더기. 자연석을 쌓아올려 만든 것으로서 칠곡군의 경우 거의 동제당(洞祭堂)이다. 주로 마을 입구에 자리하여 ‘하당’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당나무와 짝을 이루어 동제당을 이루고 있다. 사람 키 높이 정도의 크기부터 지름 4~5m의 대형까지 크기도 다양하다. 풍수지리설에 따라서 ‘지기(地氣)가 허(虛)한 곳’ 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