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0526
한자 張順孫
영어음역 Jang Sunson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헌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성별
생년 1457년연표보기
몰년 1534년연표보기
본관 인동
대표관직 영의정

[정의]

조선 전기 및 중기 칠곡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인동(仁同). 장정필(張貞弼)을 도시조(都始祖)로 하고 대제학 장계(張桂)를 중시조 1세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는 인동장씨로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인동장씨와는 맥을 달리하고 있다. 조선 중종문숙공 장순손이 영의정을 지낸 연유로 문숙공파의 파조가 되었으며,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장중지(張重智)이다.

[활동사항]

칠곡군 석적읍 출신으로 1485년(성종 16)에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정언·회령판관·부응교를 지내고, 1499년(연산군 5)에 사인(舍人)으로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이듬해 홍문관부제학에 오르고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일시 유배되었다가 1506년(중종 1)에 중종 반정(中宗 反正)으로 풀려나 순찰사가 되었다.

1518년(중종 13) 병조판서를 할 때 과거제도에 현량과(천거제)를 설치하려는 조광조의 주장을 반대하였다가 김안로(金安老)의 일파로 사림(士林)들을 축출하려 했다는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이후 복직하여 1530년(중종 25)에 이조판서가 되고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1533년(중종 28)에 영의정에 올랐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문숙(文肅)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