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193119 |
---|---|
영어공식명칭 | Batganeun sori |
분야 | 구비 전승·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구리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서은아 |
경기도 구리시 지역에서 밭에 김을 매며 부르는 노래.
「밭 가는소리」는 여성들이 밭에 김을 매면서 부르는 노동요이다. 구리시 지역은 처량하고 슬픈 음조를 띠고 있다.
「밭 가는소리」는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서 장길순에게서 채록하였으며, 사이버 한국 민요 대관에 음성 자료로 보관되어 있다.
「밭 가는소리」는 2음보 1행의 사설과 여음을 서로 주고받는 선후창 형식의 노래이다. 지역에 따라 교환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물결이 좋아/ 이 예-/ 일천 가지가 번다네/ 일천 가지가 버는 논은/ 삼천 석이 솓는다네/ 삼천 석이 솓는다네/ 부모 봉양 하여 보세/ 부모 봉양도 하려니되/ 저세대동을 무변을 지고/ 독방살이를 하여를 보세/ 나는 도 좋더라 나는 좋더라/ 총각 낭군 나는 좋더라/ 기미 머리 치켜 움켜 감쳐 잡고/ 입 맞추기 나는 좋네/ 오늘 해도 다 갔는지/ 골골마다 연기가 나네/ 오늘 해도 다 갔는지/ 까막까치 제집을 찾네/ 오늘 해도 다 갔는지/ 꼴꾼 낭군 꼴 비러 가네/ 오늘 해도 다 갔는지/ 저녁 동자 저녁 하러 가네/ 오늘 해도 다 갔는지/ 먼들 하세/ 이 예-/ 이 논배미 먼들을 허세/ 이 논배미 먼들을 허면/ 준치 자반 먹는다네/ 준치 자만 아니 먹는/ 신계곡산 중놈도 산다네/ 이 예-
김을 매는 일은 논밭에 난 잡풀을 제거하는 고된 노동이다. 「밭 가는소리」는 여성이 고된 노동을 하면서, 자신의 애환과 처량한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밭에서 김을 매며 부르는 「밭 가는소리」는 농약 및 비료 사용과 농기계가 많이 보급되면서 사라져 가고 있다.
「밭 가는소리」는 여성들의 심정을 가장 잘 드러내는 노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014년에 구리시 지역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 증보 사업에서 한 조사에서는 이 「밭 가는소리」는 한 편도 채록되지 않았으며, 현재 사이버 한국 민요 대관에 한 편이 음성 자료로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