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162007 |
---|---|
한자 | 梵窟寺 |
영어공식명칭 | Beomgulsa |
이칭/별칭 | 대성암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지역 | 경기도 구리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류성민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
범굴사(梵窟寺)는 670년(신라 문무왕 10)에 의상 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고려 시대인 1375년(우왕 1)에 나옹 화상이 중창했으며, 임진 왜란으로 소실된 후 1750년에 방지성이 초암을 짓고 확장을 했다. 1882년에 다시 소실된 후 폐사되었다가 1912년에 승려 정념이 중건하였다. 1928년에 승려 보광 스님이 대웅전과 나한전 등을 건립한 후 대성암(大聖庵)으로 개칭했고, 1936년에 보광이 중건하였다. 6·25 전쟁 때 재차 소실되었으며, 1954년에 당시 주지였던 승려 석하가 재건했고, 1981년에 대웅전, 삼성각, 종각이 재건축되는 등 이후 몇 차례 중건이 이루어졌으나 화재로 소실되었다. 이후 1992년에서 1996년 사이에 현재의 전각들이 모두 재건되었다. 1993년에 대한 불교 태고종 소속에서 개인 사찰로 변경되었다가, 2009년에 다시 범굴사로 개칭하면서 대한 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되었다.
범굴사는 예불과 법회 등 불교 사찰의 고유한 활동 외에 특별한 활동은 없다.
범굴사는 2016년 2월 현재 법당인 대성전과 삼성각·종각·요사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1월 현재 주지는 승려 정산이다.
범굴사에 문화재는 없지만, 법당 뒤편에 쌀바위로 알려진 바위가 있다. 대성암을 창건한 의상 대사가 수도하던 바위라고 하는데, 그곳에서 쌀이 나와 의상 대사에게서 가르침을 받고자 했던 사람들이 공양을 할 수 있었고, 그 쌀을 천공미(天供米)라 하였다고 한다. 후에 욕심이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쌀을 얻으려고 구멍을 크게 뚫자 타 버린 쌀과 뜨물만 나오다가 더 이상 쌀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대웅전·삼성각·범종각·요사채 등 사찰의 전각들이 있고, 안동준 거사 대성처 중창건 공덕비가 세워져 있으며, 법당 뒤쪽에는 범굴사 재산에 관한 기록인 '범굴사 불량권'과 '범굴사 불량 시주기' 암각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