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112056 |
---|---|
한자 | 九里- |
영어공식명칭 | Guri Dullegil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기도 구리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면옥 |
준공 시기/일시 | 2010년 2월 4일 - 구리 둘레길 조성 발표[1코스~4코스]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12년 8월 - 구리 둘레길 5코스 신설[6.7㎞]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2월 11일 - 구리 둘레길 코스 지점 및 방향 표시, 리플렛 제작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9월 - 구리 둘레길 개·보수 사업 착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12월 - 구리 둘레길 개·보수 사업 준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4월 - 구리 둘레길 친환경 생활 공간 조성 사업 착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11월 - 구리 둘레길 친환경 생활 공간 조성 사업 준공 |
전구간 | 구리 둘레길 - 경기도 구리시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구리 둘레길 - 경기도 구리시 |
성격 | 둘레길 |
길이 | 46.1㎞ |
경기도 구리시의 산과 강, 하천을 따라 걷는 길.
구리 둘레길은 총연장 46.1㎞의 걷는 길이다. 산과 강, 하천으로 둘러 싸인 구리시의 자연 조건을 이용하여 왕숙천, 장자못, 한강, 아차산, 망우산, 동구릉을 연결함으로써, 자연에서 묻어나는 흙냄새, 풀 냄새, 새소리, 물소리,사람 온기가 느껴지는 길을 찾아서 편안하게 자신을 보듬을 수 있는 시간을 주고자 만든 길이다. 다섯 코스가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구리 둘레길은 제주도의 올레길과 지리산의 둘레길을 벤치마킹하여 명명되었다.
주 5일 근무제 정착 등으로 여가 문화의 변화와 함께 녹색길에 대한 시민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이에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관광 자원과 지역 커뮤니티를 연결한 구리 둘레길 조성으로 지역 경제 및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2010년 2월 4일에 구리 둘레길 조성안을 발표하였다[1코스~4코스]. 2010년 2월 11일에 구리 둘레길 코스 지점 및 방향 표시와 안내 책자를 제작하여 시민과 함께 구리 둘레길 1·2·3코스를 답사하였다. 이후 2010년 9월~12월 구리 둘레길 개·보수 사업을 진행하였다. 2011년 4월~11월에 구리 둘레길 친환경 생활 공간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다. 2012년 8월에는 구리 둘레길 5코스를 신설하여 구리 둘레길을 완성했다.
구리 둘레길은 모두 다섯 코스로 되어 있다.
1코스는 역사와 자연이 살아 있는 구리 둘레길로 장자 호수 공원→구리 한강 시민 공원→고구려 대장간 마을→아차산[대성암, 고구려 보루군]→망우산 묘역→교문 사거리→구리 시장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구간 거리는 15.8㎞이고 소요 시간은 5시간 40분이다.
2코스는 생태 복원과 삶이 있는 구리 둘레길로 광개토 광장→장자 호수 공원→구리 한강 시민 공원→두물머리[왕숙천+한강]→왕숙천 습지→구리 농수산물 도매 시장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구간 거리는 9.6㎞이고 소요 시간은 2시간 35분이다.
3코스는 생활과 옛 모습이 있는 구리 둘레길로 구리역 광장→왕숙천[토평교]→구리 하수 처리장[곤충 생태관]→구리 자원 회수 시설[구리 타워]→돌섬→벌말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구간 거리는 7.3㎞이고 소요 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4코스는 구리의 옛 모습이 살아 있는 마을 안길로 동구릉→세월교→안말→두레물골[나만갑 신도비]→양지 마을[내양 초등학교]→언제말→사노리 나들목[버스 정류장]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구간 거리는 6.7㎞이고 소요 시간은 2시간이다.
5코스는 자연을 품은 구리 뒷산 둘레길로 엄마 약수터→딸기원 입구[망우리 고개]→헬기장→인창동 아름 마을 입구→구릉산[검암산] 정상 부근→약수터 입구 끝[달동네]→배탈 고개 버스 정류장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구간 거리는 6.7㎞이고 소요 시간은 2시간 25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