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구리시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행위.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까지를 '일생' 또는 '일평생'이라 한다. 일생을 확대하여 해석하면 세상에 태어나기 전 부모의 기자(祈子)로부터 출생·성년·혼인·회갑·죽음·제사까지를 포함한다. 사람은 누구나 일생 동안 여러 가지 의례를 거치는데, 이 의례를 일생 의례라고 한다. 즉, 일생 의례는 한 사람의...
-
경기도 구리시에서 아이가 태어나기 전[産前]에 행하는 출산 의례.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행해지는 출산 의례가 행해져 왔다. 출산 의례는 산전 의례(産前儀禮)와 산후 의례(産後儀禮)로 구분되는데, 이 가운데 산전의례는 아이의 잉태를 전후하여 출산 직전까지의 여러 가지 의례들을 말한다. 자식 낳기를 바라는 기자(祈子) 행위로부터 잉태의 징후를 보여주는...
-
경기도 구리시에서 출산(出産) 후에 행해지는 전통적인 의례 행위. 산후의례는 넓은 관점에서 임산부가 아기를 낳고 돌잔치를 하기까지의 과정에서 행하는 모든 의례 행위를 이른다. 경기도 구리시에서는 산후의례가 아이뿐만 아니라 산모의 건강과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금줄을 쳐 삼칠일[세이레, 21일] 동안 외부 사람을 금하는 것은 부정을 막기 위해서지만 산모의 건...
-
경기도 구리시에서 전승되는 전통 시대 사례(四禮)의 하나인 남자 성년례. 관례는 아이가 성인이 되었다는 것을 상징하기 위하여 상투를 틀고 갓을 씌우는 의식을 말한다. 양반 중심으로 행해졌던 관례는 대개 15세에서 20세 사이에 행하는데, 이때 성인이 되었다는 의미로 상투를 틀어 올리고 갓을 씌우는 의식을 치른다. 또 관례자에게는 이름 이외에 자(字)를 지어 준다. 아명(...
-
경기도 구리시에서 혼인할 때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혼례(婚禮)는 일생 의례(一生儀禮)의 하나로, 남녀가 한 가정을 꾸리기 위한 혼인에 따르는 모든 의례와 절차이다. 전통 혼례와 서양식 혼례로 나뉘는데, 근래에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과 마찬가지로 구리 시민들 대부분이 전문 예식장이나 교회 등에서 서양식 예복인 턱시도와 웨딩드레스를 갖춰 입고 치르는 서양식 혼례를 하고...
-
경기도 구리시에서 상중(喪中)에 행하는 의례. 상례는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로, 흔히 ‘장례(葬禮)’로 표현되기도 한다. 사람이 태어나서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바로 상례이다. 죽음에 임박한 시기부터 운명한 후 시신의 수습·입관·매장, 그리고 장례 후의 애도 기간 등과 관련된 모든 의례를 포함한다. 상례는 여러 의례 중...
-
경기도 구리시에서 죽은 사람의 시신을 처리하는 일련의 의례 행위. 장례는 상례의 일부분인데, 일반적으로는 장사(葬事)를 치른다고 하여 상례와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폭넓은 의미를 지닌 상례와 달리 장례는 시신을 처리하는 과정만을 말하는데, 시신을 묻을 장지를 선정하고 시신을 운구하여 처리하는 절차가 여기에 해당된다. 망자가 죽은 양택에서 그가 묻힐 음택으로...
-
경기도 구리시에서 죽은 조상에게 매년 제사를 지내는 의례 행위. 제례란 시조(始祖) 이하 선대 선조들을 추앙하는 여러 가지 의식을 비롯하여 세상을 떠난 조부모와 형제 등을 추모하기 위해 돌아가신 날이나 명절에 제사를 올리는 의식을 통틀어 이야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산 자가 죽은 자에게 제사를 지내는 전반적인 의례를 제례라 할 수 있다. 제례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고대 제...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매년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세시의 풍속. 세시풍속은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또한 농경 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 의례라고도 한다. 명절, 24절후(節侯)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에 따른 의례와 놀이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농경을 주 생업으로 하던 전통 사회에서는 놀이도 오락성이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 식사를 하기 전에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 귀밝이술 마시기는 정월 대보름에 우리나라 전역에서 행하던 세시 풍속인데, 현재 경기도 구리시에서는 아천동 우미내 마을, 갈매동 도촌말, 수택동 수늪 마을 등에서 전승되고 있다. 아침 식사를 하기 전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술을 마시며 “귀 밝아라!”라는 덕담을 하기 때문에 귀밝이술...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 전후로 행하는 세시 풍속. 구리 지역에서는 음력 1월 14일 또는 음력 1월 16일을 귀신날이라고 하여 바깥 출입을 삼가고 일도 하지 않았다. 또 밤에는 귀신이 신발을 신고 간다고 하여서 밖에 두지 않고 안에다 들여놓았다. 귀신이 신발을 신고 가면 신발의 주인이 병을 앓는 등 일 년 내내 재수가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한편...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나이 수만큼 떡을 만들어 먹는 세시 풍속. 나이떡 먹기는 중화절(中和節) 또는 ‘머슴날’이라고 하여 농사를 시작하는 음력 2월 1일에 행해지는 세시 풍속이다. 한 해의 풍년을 비는 뜻으로 송편을 만들어 나이 수만큼 머슴들에게 나누어 먹이고 하루를 쉬게 해 주었기 때문에 이때 먹는 떡을 나이떡이라고 했다. 머슴이 사라진 근래에는 숟...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단오는 수릿날[水瀨日]·천중절·중오절·단양 등의 다양한 이름이 있다. 예부터 3월 3일, 5월 5일, 6월 6일, 7월 7일, 9월 9일 등 월과 일이 겹치는 날은 양기가 가득 찬 길일로 쳐 왔는데, 그중 5월 5일을 가장 양기가 센 날이라고 해서 으뜸 명절로 지내 왔다. 수리란 말은 고(高)·상·신(神)을 의미하는 옛말...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달을 보며 소원을 빌거나 농사일을 점치는 세시 풍속. 달맞이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정월 대보름날 풍속이다. 횃불을 들고 산에 올라가 달이 뜨면 횃불을 땅에 꽂고 소원을 빈다. 농부들은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고, 혼인을 안 한 처녀와 총각들은 좋은 배필을 만나 결혼하게 해 달라고 기원하고, 손이 귀한 집안의 부녀자들은 집안의 대를 이을...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더위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행하는 세시 풍속. 더위팔기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 우리나라 전역에서 행하던 세시 풍속의 하나이다. 한여름날 더위에 몸이 상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속신에서 유래된 것으로 남녀노소 모두가 행하는 민속이다. 보름날 아침에 친구 등 지인의 이름을 불러 뒤돌아보거나 대답을 하면 "내 더위 사 가라....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아기의 첫 번째 생일에 입는 옷. 아기가 태어나 만 일 년이 되는 날을 돌이라고 하여 생일상을 차리고 손님들을 초대해 크게 축하한다. 이를 돌잔치라고 하며, 아기에게 입히는 옷이 돌복이다. 구리 지역에서도 뷔페 식당 등의 연회 장소에서 돌잔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돌복은 부모의 선택에 따라 전통 한복을 입히기도 하고 서양의 턱시도나 드레스를 입히...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동짓날에 먹는 붉은팥으로 만든 절식.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해가 가장 짧은 날인데, 음(陰)이 극에 달해 귀신이 성하는 날로 여긴다. 따라서 옛날 사람들은 주술적인 의미로 양(陽)의 기운을 상징하는 붉은 팥죽으로 음의 기운을 물리친다고 생각했다. 즉, 동지는 태양이 부활하는 날로 여겼기 때문에 붉은색의 팥죽을 쑤게 된 것이다. 지금은 많이 사라...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설날에 먹는 음식으로, 흰 가래떡을 어슷하게 썬 후 고기 육수에 넣어 탕국으로 만든 음식. 떡국은 멥쌀을 쪄서 원통형으로 길쭉하게 만든 가래떡을 어슷하게 썰어 꿩이나 닭 등을 삶은 고기 육수에 넣고 끓인 탕국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떡국을 '백탕(白湯)' 혹은 '병탕(餠湯)'이라 적고 있는데,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 떡을 넣고...
-
경기도 구리시에서 명절 때마다 갖추어 입는 옷. 명절에는 차례를 지내고 친지들을 방문하거나 방문을 받는다. 따라서 평소에 입던 일상복이나 노동복 대신 새 옷을 입는다. 정월 초하룻날인 설날 아침에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 일찍 일어나 세수를 하고 새 옷을 갈아 입었는데, 이것을 ‘설빔(歲粧)’이라고 한다. 구리시에서도 명절옷을 입는 풍속은 일반적으로 행해지며, 특히...
-
경기도 구리시에서 입춘에 보리 뿌리를 보고 풍작을 점치는 행위. 과거 보리 농사를 지을 때 입춘에 보리를 캐어 뿌리가 세 가닥 이상이면 풍작이고, 두 갈래로 갈라지면 평년이며, 단근으로 뿌리가 갈라지지 않으면 흉작이 된다고 예견하였다. 보리 뿌리는 동짓날부터 솜털 같은 잔뿌리가 나와서 입춘이 되면 제법 커진다. 경기도 구리시 전역에서도 1970년대까지는 재미 삼아 풍속으...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정월 초를 맞아 방문 위에 조리를 걸어 두는 풍속. 예전에는 가정집마다 조리는 생활 필수품이었다. 정초에는 복을 바라는 마음에서 조리 두 개를 엇갈리게 묶어서 방문 위에 걸어 놓곤 하는데, 이때 걸어 두는 조리가 복조리이다. 따라서 섣달그믐이나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는 조리 장수들이 복조리를 팔곤 하였으며, 설날 이른 아침에 조리를 사면 일 년 내내...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음력 4월 8일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을 기념하는 날. 사월초파일은 불교의 기념일이자 불교 신자에게는 가장 성스러운 날이기도 하다. 욕불절(浴佛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부처님을 목욕시키는 의례인 욕불 행사를 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불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오랜 역사를 관류하면서 사월초파일은 우리 고유의 전통 명절이 되었다. 정확히 언제부터 우리 고...
-
초복(初伏)·중복(中伏)·말복(末伏)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여름 더위로 쇠한 기력을 보충하기 위해 보양 음식을 먹는 날. 삼복(三伏)은 한여름인 음력 6월부터 7월 사이에 있는 초복(初伏)·중복(中伏)·말복(末伏)의 삼경(三庚)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첫 번째 복날인 초복은 하지(夏至)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이고, 두 번째 복날인 중복은 네 번째 경일,...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음력 3월 초사흗날 지내는 명절.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을 이르는 말로,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다. 나뭇가지에 새싹이 돋고 산과 들에 꽃이 피기 시작하는 봄날이라 사람들이 산으로 놀러가 음식을 먹는 등 하루를 즐겼다. 근래에도 꽃놀이라 하여 놀러 가는 경우가 많다. 구리 시민들의 경우 삼짇날을 '제비가 돌아오는 날'로는 인식하지만 별다른...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지내는 명절.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 중 하나인 설날은 음력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1월 1일이다. 설이 언제부터 유래된 명절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중국의 역사서에 신라인들의 원일(元日)[설날의 다른 이름]에 관한 기록이 있고, 『고려사(高麗史)』에 9대 속절(俗節)의 하나로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4대 명절의 하나로 여기는...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한식과 추석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서 돌보는 일. 성묘는 조상의 묘를 찾아 돌보는 행위이다. 집안 또는 문중에 따라 규모와 형식의 차이는 있으나 보통은 분묘를 손질한 후 묘제를 지낸다. 경기도 구리 지역의 성묘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로 한식과 추석에 행하는데, 집안에 따라서 설날에 하는 경우도 있다. 구리시 수택동 수늪 마을에서는 아침에 집에서...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섣달그믐이나 정초에 웃어른께 인사로 하는 절. 세배는 정월 초하루에 하는 새해 첫 인사이다. 일반적으로 아침에 차례를 지낸 후 아랫사람이 가장 웃어른부터 찾아가 절을 한다. 절을 한 후에는 보통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오래 오래 건강하세요." 등의 새해 인삿말을 건넨다. 구리 지역에서도 차례 후 집안 어른들에게 세배를 하고, 친척과 이웃 어른들에...
-
경기도 구리 지역에 봄과 가을에 불어오는 바람. 손돌바람은 구리 지역을 비롯해 주로 경기도 일대에서 가을에 불어오는 강풍을 말한다. 조사된 자료에 따르면 구리 지역에서는 봄철에도 손돌바람이 분다. 갈매동에서는 4월 중 바람이 많이 부는 날이 있는데, 주민들은 그 바람을 손돌바람이라 칭한다. 갈매동의 도촌 마을에서는 10월 스무날은 손돌이 죽은 날이기에 몹씨 춥다는 의미에...
-
경기도 구리시에서 사람이 죽어 염습할 때 시신에 입히는 옷. 우리나라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대부분 유교적 상례(喪禮)에 따라 시신을 향물로 씻기고 의복을 갈아 입힌 후 묶어 관에 넣는다. 이를 염습(殮襲) 또는 습렴(襲殮)이라고 하는데 이때 입히는 옷을 수의(壽衣)라고 한다. 구리 지역에서도 종교에 따라 장례 절차는 차이가 있지만 수의와 염습 방법은 대부분 유교식을 따른다...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음력 10월에 조상의 무덤에서 지내는 묘제. 시제는 시사(時祀)·시향(時享)·절사(節祀)·묘제(墓祭) 등 다양한 명칭을 가지고 있다. 시제 때 모시는 조상은 먼 조상에서부터 가까운 조상까지 두루 포함된다. 가까운 조상의 경우에는 직계의 지손(支孫)들이 조상의 무덤에 가서 시제를 지내며, 먼 선조의 무덤에는 종중(宗中)의 일가친척이 합동으로 제를 지낸다....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다섯 가지 곡식으로 절식을 만들어 정월 대보름에 먹는 것. 오곡밥은 지역에 따라 예외도 있지만 보통 쌀·조·수수·팥·콩 등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밥인데, 정월 열나흗날 또는 정월 대보름날에 지어 먹는다. 풍농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어 농사 밥이라고도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오곡 잡반(五穀雜飯)과 함께 정월 대보름...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물을 길어 오는 세시 풍속. 용알 뜨기는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 부인들이 서로 앞을 다투어 우물물을 긷던 풍속이다. 용알뜨기란 우물에 있는 용의 알을 뜬다는 뜻으로, '노용란(撈龍卵)'. '노용자(撈龍子)'라고도 한다. 또한 정월 대보름 새벽에 물을 떠 오는 것은 집안에 복을 가져오는 것이므로, 복물(福물),...
-
음력에서 날짜와 계절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하여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탠 달. 달[月]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력(太陰曆)에서의 1년은 태양력(太陽曆)과 약 11일의 차이가 발생한다. 결국 태음력에서는 날짜와 계절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일 년 열두 달 외에 약 3년에 한 차례는 두 번 거듭되는 달이 발생한다. 이러한 달을 윤달[閏月]이라 하며, 가외로 더 있는 달이기 때...
-
경기도 구리시에서 절기에 따라 먹는 특별 음식. 절식(節食)은 우리 나라의 세시 풍속과 직접 연결되는 식생활 풍습의 하나이다. 자연환경과 농업을 위주로 하는 생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에 따라 형성된다. 불교 및 유교의 규범 아래 조상 숭배의 사조와 기복(祈福)·기풍(祈豊)·면액(免厄)의 관념 등이 서로 연결되고 복합되면서 절식에 대해 함께 공감할 수 있다. 절식은 명절...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정월대보름은 상원(上元)이라고도 하는데, 세시 풍속에서는 가장 중요한 날이며, 설날만큼 비중이 크다. 1년을 통해 보면 정월대보름에 가장 많은 세시 풍속이 몰려 있다. 특히 정월대보름의 풍속은 농경 생활의 예행 연습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데, 정월대보름은 농한기가 마무리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정초가 되면 윷놀...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음력 8월 15일이다. 수확의 시기인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 으뜸 명절이다. "5월 농부, 8월 신선"이라는 말처럼 8월은 한 해의 농사가 다 마무리된 때이자 오곡이 익는 계절인 만큼 모든 것이 풍성하다. 따라서 추석에는 풍요를 기리는 각종 세시 풍속이...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토란을 재료로 국을 끓여 추석 때 먹는 절식. 토란국은 토란탕이라고도 하는데, 쇠고기 육수에 토란을 넣어 끓인 국이다. 한가위 절식이자 궁중 음식이다.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인 토란에는 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하는 성분이 있다. 구리 지역에서는 추석에 많이 먹지만 평상시에도 먹는 음식이다. 구리시 인창동 최씨 집성촌인 최촌 마을에서는 매년 추석 전...
-
경기도 구리시에서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행해지는 명절.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한식 절사(寒食節祀)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서울 풍속에 산소에 참예(參詣)하여 제사를 올리는 것은 설날·한식·단오·추석의 네 명절이다. 술·과일·포·식혜·떡·국수·탕·적 등을 올린다. 이것을 '절사(節祀)'라고 한다. 집안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