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1279 |
---|---|
한자 | -打令 |
영어공식명칭 | Bangae Taryeong (Traditional Korean Ballad) |
이칭/별칭 | 방아타령,방애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7년 7월 21일 - 「방애타령」 채록 |
---|---|
채록지 | 「방애타령」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가창권역 | 「방애타령」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성격 | 노동요 |
기능 구분 | 노동요 |
형식 구분 | 선후창 |
가창자/시연자 | 권현쇠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에서 방아를 찧을 때 부르던 노래.
[개설]
「방애타령」은 일반적으로 방아를 찧을 때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힘차고 단순하다. 동작과 박자의 관계가 명확하며 사설의 내용도 방아찧기와 연관되어 있다.
[채록/수집 상황]
「방애타령」은 1987년 대구직할시에서 발행한 『민속예술』 233-234페이지에 사설과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제보자는 권현쇠[남, 73세], 조사일은 1987년 7월 21일이다.
[구성 및 형식]
「방애타령」은 선후창 형식이다.
[내용]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방애타령」은 선창자가 앞소리를 하면 여러 명이 ‘우우 방에야’의 뒷소리를 반복한다. 「방애타령」의 사설은 방아찧기 행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우 방에야 우우 방에야/이방아가 누방아고 우우 방에야
강태공에 젖은방아 우우 방에야/강태공은 어딜가고 우우 방아야
방애하나만 남았는가 우우 방아야/덜거덩 덜거덩 찍는방아 우우 방아야
하루찌도 사천석 우우 방아야
[현황]
「방애타령」은 현재는 방아를 찧는 일이 거의 없고 기계를 이용하므로 현장에서 방아소리는 생명력을 잃었다. 다만 농요보존회를 중심으로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의 「방애타령」은 방아찧는 행위와 연계하여 1음절 4자, 2음절 한 장단을 노래하는 정형성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