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정승네 맏딸애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1268
영어공식명칭 Yu Jeong-seung’ the Eldest Daughter Baby (Epic Folk Song by Women)
이칭/별칭 이선달네 맏딸애기,김선달네 맏딸애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3년 8월 12일 - 「유정승네 맏딸애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채록
채록지 「유정승네 맏딸애기」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유정승네 맏딸애기」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성격 서사민요
토리 메나리토리
출현음 (미)라도레미솔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박성이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서사민요.

[개설]

「유정승네 맏딸애기」는 일반적으로 김선달네 맏딸애기 또는 이선달네 맏딸애기로 알려진 민요와 유사한 형태로, 이야기가 있는 서사민요이다. 길쌈을 할 때 불렀기 때문에 노동요로 분류되기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유정승네 맏딸애기」는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7-13 대구직할시 편 845-849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2일이다.

[구성 및 형식]

「유정승네 맏딸애기」독창 형식이다.

[내용]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유정승네 맏딸애기」 사설은 주인공이 연밥구경을 나갔다가 만난 도령과 야반도주를 하여 7년만에 집으로 돌아오니, 유정승이 도망갔던 딸을 받아들이지 않고 내쳐 다시 돌아선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월이라 하유정승에 맏달애기 호리연당/연밥귀경 좋다해여 마상을 아부씨고/

연밥귀경 가다하니 마상에 올러와여/귀로할데 없어 나무밑에 귀로하니/

마상에 앉인도련 저나무밑에 가여바라/범나운강 수나운강 나는범나우도 아니로요/

수나우도 아니로요 서월유정승네 맏딸아이기/호리연당 연밥귀경 좋다해여/

몸종을 아부씨고 연밥귀경 가다하니/마상에 올러와여 귀로 할데없어/

나무밑에 귀로한다 마하상에 올러가여/유정승의 사랑에 들어앉어 그날밤에 공부하니/

유정승의 맏딸아이기 연당안에 들어앉어/오늘본것도 이해일이요 어제본것도 이해일이요/

(중략)

아에해 오늘본것도 노랠텐데 김정승의 맏아들이 그사랑에서 공부하니/그노래가 귀에듣게 버선발로 쫓어나가 연당안에 들어서여/

긴피를하니 여개는 나는새도 몬오는데/짐승이거든 물러서고 사람이거든 귓뜸을 하라카니/

나는귀신도 아니요 오날마상도 밨는 범나우요 카니/그렇거든 들어오라고 문을 열어주니/

그날밤에 둘이 도망을 처여뿌니/

(후략)

[현황]

현재는 길쌈을 하지 않기 때문에 노동요는 불리지 않고, 부녀자들의 기억 속에 조금씩 남아 있어 「유정승네 맏딸애기」는 유희요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유정승네 맏딸애기」는 사설의 내용과 곡조가 다른 지역과 달라 특징적이다. 선율은 메나리토리이지만 음계의 최저음이 빠진 유형이기 때문에 매우 독특하게 들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