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1265 |
---|---|
영어공식명칭 | Jeolrae Sori (Farmers’ Song) |
이칭/별칭 | 「전례소리」,「매조지는소리」,「전래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지 | 「절래소리」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0년 5월 15일 - 공산농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 |
가창권역 | 「절래소리」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
성격 | 노동요 |
토리 | 메나리토리 |
출현음 | 미·솔·라·도 |
기능 구분 | 노동요 |
형식 구분 | 선후창 |
가창자/시연자 | 송문창 |
문화재 지정 번호 |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공산농요]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세벌논매기가 끝날 무렵에 부르는 소리.
[개설]
「절래소리」는 대구시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공산농요」 중 하나로 세벌논매기가 끝날 무렵에 부르는 노래이다. 「절래소리」는 「전래소리」 혹은 「전례소리」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절래소리」는 2009년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에서 발행한 『송문창과 공산농요』 71쪽에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절래소리」는 선후창 형식이다.
[내용]
「절래소리」는 앞소리하는 사람이 ‘어화 시용’을 노래하면 여러 사람이 ‘어화 절래’하며 받는다. 같은 사설이 계속 반복된다.
(선)어화 시용/(후)어화 절래
(선)어화 시용/(후)어화 절래
[현황]
현재 농사꾼이 직접 논매기를 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에서 「절래소리」는 사라졌지만 공산농요보존회가 「절래소리」를 전승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의 「절래소리」는 지역의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다른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논매기의 마무리 소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