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0600
한자 崔廷翰
영어공식명칭 Choe Jeonghan
이칭/별칭 만오(晩梧),계응(季鷹)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45년 5월 20일연표보기 - 최정한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09년 4월 19일연표보기 - 최정한 사망
출생지 최정한 출생지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최정한 거주지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묘소|단소 최정한 묘소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지도보기
성격 문인
성별
본관 경주

[정의]

조선 후기 및 개항기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출신 문인.

[개설]

최정한은 조선 후기 대구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로 낙육재 재생(齋生)이다.

[가계]

최정한의 자는 계응(季鷹), 호는 만오(晩悟),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아버지는 최명발(崔溟發)이고 어머니는 중화양씨(中和楊氏)이다. 대암(臺巖) 최동집(崔東㠍)의 후손이다.

[활동 사항]

최정한은 어릴 적부터 학문에 뜻을 두었으며, 『심경』, 『근사록』을 깊이 공부하였다.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선생께 집지(執贄)[제자가 스승을 처음으로 볼 때에 폐백을 가지고 가서 경의를 표함]하여 문인이 되었다. 1887년(고종 24)에 금우(琴愚) 구연우(具然雨) 등과 함께 관찰사 이호준(李鎬俊)이 실시하는 낙육재(樂育齋) 재생(齋生)의 시험에 합격하였다. 「대구향교 명륜당 상량문」을 지었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하여 평의장(評議長)을 역임하였다.

[학문과 저술]

최정한이 1889년 낙육재 재생들과 팔공산을 유람한 「유팔공산록(遊八公山錄)」. 문집으로 『만오집(晩悟集)』이 있다.

[묘소]

최정한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속명 부인동]에 있다.

[상훈과 추모]

족제(族弟) 최정우(崔廷友)가 지은 묘비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