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433 |
---|---|
한자 | 文昌公 影幀 |
영어공식명칭 | Portrait of Choe Chi-won |
이칭/별칭 | 최치원영정,고운영정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38길 51[도동 766-4]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고소진 |
제작 시기/일시 | 1860년 - 문창공영정 제작 |
---|---|
이전 시기/일시 | 1912년 - 문창공영정 지저동 계림사에서 도동 문창공영당으로 이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0년 12월 15일 - 문창공영정,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5호로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문창공영정,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 |
현 소장처 | 문창공영정 -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38길 51[도동 766-4] |
원소재지 | 문창공영정 - 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 |
성격 | 초상화 |
소유자 | 경주최씨구회당종중 |
관리자 | 경주최씨구회당종중 |
문화재 지정 번호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문창공영당에 있는 고운 최치원의 초상화.
[개설]
문창공영정은 지리산 쌍계사본과 가야산 해인사본이 있다. 1783년(정조 7)에 쌍계사본은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의 무성서원으로 옮겼다. 고종 때 개모(改模)[원래 모습대로 복원]하였다. 해인사본은 경상북도 청도군 및 대구광역시로 옮겨서 봉안하다가 거의 같은 시기에 개모하였다.
[형태 및 구성]
문창공영정은 문창공영정은 신선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신선도 화풍의 민화이다. 비단 위에 홍, 황, 회, 녹, 감, 등(橙), 백, 흑, 담녹의 9가지 색깔로 채색되었다. 문창공영정 속 고운(孤雲)은 바위 위에 앉아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이 그림은 1860년(철종 11)경 해인사본을 옮겨와 그린 것으로 추측된다.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의 후손인 최흥원이 1865년 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에 있는 계림사에 봉안되어 있던 문창공영정을 1912년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766-4번지로 문창공 영당으로 옮겼다.
[특징]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문창공영정은 신선도 형식을 취하고 있어, 계동사에 있는 문창공 영정보다 20년 정도 먼저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문창공영정은 고운 최치원 선생을 신선으로 대하는 민간인들의 입장에서 그렸고 신선도 형식의 민화풍 초상화로 의미있는 작품이다. 1990년 12월 1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5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