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193110 |
---|---|
영어공식명칭 | Hoedajisori |
이칭/별칭 | 「달구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구리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서은아 |
경기도 구리시 지역에서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노래.
「회다지소리」는 관을 묻고 무덤을 만든 후, 흙을 단단하게 다지며 부르는 의식요이다. 내용상으로는 장례 의식요이지만, 기능상으로는 노동요 성격도 갖고 있다. 경기도 구리시·남양주시 등 동북부 지역에서는 흙을 더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흙에 회(灰)를 섞기 때문에 「회다지소리」라고 불리며, 「달구소리」라고도 한다.
「회다지소리」는 2014년 7월 7일, 구리시 인창동 구리 문화원에서 엄경성·임득남·박영국·임정태·임정무 등에게서 채록하였다.
봉분을 다지는 「회다지소리」는 선후창의 형식을 취한다. 달구질은 3쾌 또는 5쾌 등 홀수로만 다지는데, 각 쾌의 초반부에는 느린 가락과 느린 동작으로 소리를 주고받다가 점차 소리 및 동작의 속도가 빨라진다. 선소리꾼은 달구질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소리를 부르며, 일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후렴은 ‘에여라달공’이다.
선소리 뒷소리
에-여라 달-공 에-여라 달-공
에-여라 달-공 에-여라 달-공
달공 받는 여러분네 에-여라 달-공
한팔 두뼘 달굿대를 에-여라 달-공
높이 들어 콰쾅쾅 놔소 에-여라 달-공
잘헌다고 먼저 말고 에-여라 달-공
못헌다고 야중을 마소 에-여라 달-공
일시에 받고 일시에 끊쳐 에-여라 달-공
먼데 사람 듣기 좋고 에-여라 달-공
가깐데 양반 보기 좋게 에-여라 달-공
잘헌다고 먼저 말고 에-여라 달-공
못헌다고 야중 마소 에-여라 달-공
일시에 받고 일시에 끊쳐 에-여라 달-공
세상천지 만물 중에 에-여라 달-공
사람 밖에 또 있든가 에-여라 달-공
여보시오 시주님네 에-여라 달-공
이 내 말 좀 들어주소 에-여라 달-공
이 세상에 나온 사람 에-여라 달-공
누덕으로 나왔던가 에-여라 달-공
석사여래 공덕으로 에-여라 달-공
아버님전 뼈를 빌고 에-여라 달-공
아버님전 뼈를 빌고 에-여라 달-공
어머님전 살을 빌어 에-여라 달-공
칠성님전 명을 빌고 에-여라 달-공
제석님전 복을 받어 에-여라 달-공
이내일신 탄생하니 에-여라 달-공
한두 살에 철을 몰라 에-여라 달-공
부모은공 알을손가 에-여라 달-공
이삼십을 당도하니 에-여라 달-공
어이없고 애닯더라 에-여라 달-공
어제 오날 성튼 몸이 에-여라 달-공
저녁나절에 병이 들어 에-여라 달-공
실날같이 약한 몸에 에-여라 달-공
태산 같은 병이 드니 에-여라 달-공
부르나니 어머니요 에-여라 달-공
찾-느니 냉수로다 에-여라 달-공
인삼녹용 약을 쓴들 에-여라 달-공
약덕인들 입을손가 에-여라 달-공
무녀를 불러다 굿을한들 에-여라 달-공
굿덕인들 입을소냐 에-여라 달-공
패수{판수}불러다 경읽은들 에-여라 달-공
경덕인들 입을손가 에-여라 달-공
백미쌀을 씰쿠 씰어 에-여라 달-공
명장대찰 찾어가서 에-여라 달-공
상-탕에 해맥하고 에-여라 달-공
중탕에다 목욕하고 에-여라 달-공
하탕에 수족 씻고 에-여라 달-공
촛대 한상 다린 후에 에-여라 달-공
비나이다 비나이다 에-여라 달-공
하나님전에 비나이다 에-여라 달-공
부처님전 공양미 올린들 에-여라 달-공
무슨 효험이 있을손가 에-여라 달-공
열시왕자 부른 사자 에-여라 달-공
열시왕의 명을 받어 에-여라 달-공
일직사자 왕직사자 에-여라 달-공
한 손에는 쇠줄을 들고 에-여라 달-공
또 한손에 창검 들어 에-여라 달-공
활대 같이 굽은 길로 에-여라 달-공
살대 같이 따러 와서 에-여라 달-공
닫은 문을 벅차내면 에-여라 달-공
어서 가세 바삐 가세 에-여라 달-공
여보시오 사자님네 에-여라 달-공
배고프고 시장하니 에-여라 달-공
노잣돈이나 따가고 자세 에-여라 달-공
애걸하고 싹싹 빈들 에-여라 달-공
무슨 효험이 있을손가 에-여라 달-공
옛 노인네 말씀이라 에-여라 달-공
저승길이 물 같더니 에-여라 달-공
오늘날에 당해서는 에-여라 달-공
대문 밖이 저승일세 에-여라 달-공
옛 노인네 말씀에는 에-여라 달-공
대문 밖이 저승일세 에-여라 달-공
에-여라 달-공 에-여라 달-공
명사십리 해당화야 에-여라 달-공
꽃 진다 잎 진다 서러 마라 에-여라 달-공
오늘 나게 당해서는 에-여라 달-공
대문 밖이 저승일세 에-여라 달-공
에-여라 달-공 에-여라 달-공
경기도 구리시 지역에서는 묘광을 만들 때, 회(灰)를 사용하는데 보통 15~20포가량이 들어간다. 달구질을 할 때 경기도 구리시 갈매동에서는 광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광 밖에서 달구공으로 다진다. 이는 차마 부모를 발로 밟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반면 구리시 교문동에서는 묘광 안으로 들어가서 단단하게 밟는다. 보통 달구질은 세 번 한다.
요즘은 봉분을 만들고 다지는 일에 주로 굴착기를 이용한다. 장례 의식의 모양이 바뀌면서 장례 의식요인 「회다지소리」 또한 점차 사라지고 있다.
「회다지소리」는 매장을 중시하는 우리 고유의 장례 풍습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장례 의식요이다. 이 노래에는 망자(亡者)의 한탄과 남겨진 가족들에 대한 안타까움이 잘 드러난다.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 증보 사업의 일환으로 2014년 경기도 구리시 지역에서 채록된 「상여 소리」에는 모두 「회다지소리」, 「달구소리」가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