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수수께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91006
영어공식명칭 Riddle
이칭/별칭 수수꺼끼,쉬시께끼,수수 적기,수시 적기,수수 잡기
분야 구비 전승·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은아

[정의]

경기도 구리시에서 어떤 사물에 대해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개설]

수수께끼는 구비 문학의 한 형태로, 주로 은유를 사용해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 표현이다. 수수께끼는 기억이 용이하고, 전달과 보급이 쉽다. 또 개인 창작의 것이 아니고 심리적 및 기능적 필요에서 생겨난 인간적 언술(言述)의 근원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수수께끼의 방언으로는 수수꺼끼·쉬시께끼·수수적기·수시적기·수수잡기 등 50여 가지 이상이 있다. 한자로는 '미[謎·謎語·謎說言]'라고 한다.

수수께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자(話者)와 청자(聽者)가 구연에 참여한다. 수수께끼는 설문과 응답으로 구성되며, 이에 화자와 청자가 다 같이 구연에 참여한다.

둘째, 묘사가 극히 단순하다. 구비 문학 장르 중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를 띠는 것은 수수께끼와 속담이다. 소수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대개 한 개의 단어나 단문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은유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수수께끼는 어떤 사물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넷째, 고의적인 오도성(誤導性)을 의도한다. 수수께끼는 어떤 사물의 의미를 감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애매한 용어들을 사용하며, 암시가 될 만한 점은 슬쩍 피하여 청자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린다.

[구리시 채록 수수께끼]

1. 갈매동

아버지 코에 아들이 매달리는 것은? (도리깨)[도리깨의 자루는 아버지이고 도리깨의 꼭지에 돌려 묶는 것은 아들]

짝에 방울은 뭐게? (안짝에 솔방울)

뛰는 고리는 뭐게? (개고리)

신 고리가 뭐게? (문고리)

까는 짝은 뭐게? (볼기짝)

2. 우미내

먹으면 홀쭉하고 안 먹으면 불른게 뭐게? (엄마 젖)

가죽 벗기고 털 뜯는 것은? (옥수수)

하늘 보고 절하는 것은? (도리깨)

3. 토평동

머리 풀고 하늘로 올라가는 것은? (연기)

밑으로 먹고 위로 올라가는 게 뭐게? (대패)

위로 먹고 옆으로 나오는 것은? (맷돌)

강은 강인데 못 건너는 강은? (요강)

장은 장인데 못 먹는 장은? (송장)

4. 동구동

다섯 놈이 들어가는데 열 놈이 잡아당기는 것은? (양말)

새는 새인데 큰 새는 뭐게? (하늘땅 새)

개는 개인데 제일 큰 개는 뭐게? (안개)

두 놈이 구덩이를 파고 여덟 놈이 장사 지내는 것은? (송편)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