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82008
영어공식명칭 Yunnori
이칭/별칭 사희(四戲),척사희(擲柶戲)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종원

[정의]

경기도 구리시에서 네 개의 윷가락을 던져 나오는 궤에 따라 말[馬]을 옮겨가며 승부를 겨루는 놀이.

[개설]

윷놀이는 사희(柶戱) 또는 척사희(擲柶戱)라고도 부른다. 이 놀이는 나무로 만든 네 개의 윷가락을 던지며 노는 것으로 윷패가 엎어지고 젖혀진 상황에 따라 도·개·걸·윷·모가 결정된다. 이를 바탕으로 윷말을 움직이며 서로 잡고 잡히면서 승부를 겨룬다. 이 놀이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고,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도 않는다. 구리시 갈매동에서는 정월 대보름 전에 윷놀이를 하고 놀았다.

[연원]

윷놀이의 유래에 대해서는 뚜렷한 정설이 없다. 다만 중국에서 발생하여 삼국 시대 무렵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북사(北史)』와 『태평어람(太平御覽)』에는 부여의 저포(樗蒲)·악삭(握槊) 등의 잡희(雜戱)가 소개되어 있어 이러한 추정을 할 수 있다. 고려 말 『목은집(牧隱集)』에서 이색(李穡)은 저포를 세시 풍속이라 하며, 현재의 윷판과 같은 것으로 윷말을 써 가며 저포 놀이를 하는데 변화가 무궁하고 강약을 가릴 수 없는 이변도 생겨서 턱이 떨어질 지경으로 우습다고 하였다. 하지만 윷놀이는 본래 놀이의 속성보다는 주술적 성격을 지녔을 가능성이 크다. 그 이유는 정초에 윷을 던져 나오는 궤에 따라 한 해의 운세를 점치는 ‘윷점’이 오래전부터 행해졌기 때문이다. 이후 이러한 성격을 지닌 윷점이 놀이적 성격으로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윷놀이에는 네 개의 윷가락과 말, 그리고 윷판이 필요하다. 윷가락은 한 면은 배가 부른 형태로 볼록하고, 다른 한 면은 평평하게 되어 있는데, 배가 불러 있는 쪽에는 대개 3~4개 정도의 ‘×’ 표시가 되어 있다. 말은 색을 달리한 2쌍[각각 4개씩]이 필요하다. 윷판은 윷가락을 던져 나온 숫자에 맞게 말을 옮겨 갈 수 있도록 도안이 그려져 있다. 추운 겨울철에 많이 행해지는 관계로 주로 방안에서 많이 했지만 날씨가 따뜻한 계절에는 야외에서 할 때도 있다. 갈매동에서는 정초에 큰집에 세배를 하러 가서 친척들이 마당에 모여 윷놀이를 하였다고 한다.

[놀이 방법]

윷놀이는 두 명이 할 수도 있으며 여러 사람이 참여하여 두 팀으로 나눠 진행할 수도 있다. 팀이 나뉘면 윷가락을 던져 순서를 정한 후 놀이를 시작한다. 윷가락이 하나만 젖혀지면 1점[도], 두 개가 젖혀지면 2점[개], 세 개가 젖혀지면 3점[걸], 전부 젖혀지면 4점[윷], 네 개가 모두 엎어지면 5점[모]으로 계산한다. 윷가락을 던져 나오는 궤에 따라 윷판에서 말을 옮기는데, 윷판에 놓인 상대방의 말을 잡거나 모와 윷이 나오면 한 번 더 던질 수가 있다. 이렇게 진행하면서 정해져 있는 모든 말이 먼저 빠져나오면 이기는 놀이다. 구리시에서는 윷놀이에서 지는 팀이 이긴 팀에게 음식을 대접하기도 하며, 지는 팀에게 특별한 벌칙이 부여되기도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윷놀이는 정초에 행하던 놀이이긴 하나 한 해의 운수를 점치는 점복적 성격도 지닌다. 집안의 가장 큰 어른이 윷을 던져 나오는 궤에 따라 식구들의 운세를 점쳐 주었다. 이런 행위가 끝나면 온 가족이 모여 준비한 음식을 서로 나눠 먹으며 하루를 보낸다.

[현황]

구리시에서는 오늘날에도 광범위하게 윷놀이가 행해지고 있다. 마을에서는 척사 대회라는 명목으로 정월 대보름 경에 윷놀이를 하고 있으며, 구리시 차원에서 코스모스 축제 등의 부대 행사로 윷놀이를 즐기기도 한다. 또한 각 가정이나 지인들끼리 모여서 수시로 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