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갈퀴치기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82001
영어공식명칭 Hitting lake
이칭/별칭 칼땅 치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종원

[정의]

경기도 구리시에서 행해지던 전통 놀이.

[개설]

구리시에서는 갈퀴치기를 '칼땅 치기'라 부르기도 한다. 갈퀴치기는 낫치기처럼 나무꾼들이 심심풀이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본인들이 해 놓은 나무를 걸고 놀이를 하였다. 낫치기처럼 나뭇잎 등을 긁어 모으는 갈퀴를 빙빙 돌려 던져 갈퀴가 엎어지면 이기고 제쳐지면 지는 놀이이다.

[연원]

갈퀴치기가 언제부터 시작된 놀이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갈퀴의 역사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갈퀴는 낫과 더불어 나무를 하는데 필수적인 도구이다. 자루와 갈퀴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람의 거친 손은 갈퀴의 구부러진 발에 비유하여 갈퀴손이라고 불렀다. 갈퀴 명칭은 여러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역어유해(譯語類解)』에서는 ‘시파자(柴把子)’, 『한한 청문감(韓漢淸文鑑)』에서는 ‘파자(爬子)’라고 적혀 있다. 서호수(徐浩修)가 쓴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형파(荊杷)’로 표기하고, “벼 고갱이를 따로 모으는 연장이다. 싸리나무를 구부려 만든 것으로 타작 마당에 긴요하며 큰 솔가리 나무를 할 때에도 쓴다(疏剔禾稭之器也揉荊編成列齒塲圃間不可無者亦爲樵蘇所用).”라는 설명과 함께 그림을 덧붙여 놓았다. 오늘날에는 놀이를 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없으나 나무가 땔감으로 사용하던 시절엔 이 놀이를 많이 하였다.

[놀이 도구 및 장소]

갈퀴치기는 주로 산에서 많이 하였다. 놀이 도구로는 나무를 하기 위해 가져간 갈퀴와 나뭇단이 필요하다.

[놀이 방법]

5m쯤 되는 거리에 갈퀴를 던질 지점을 정하고서 선을 그어 놓는다. 갈퀴가 선 안, 즉 던진 사람 쪽으로 떨어지면 자격을 잃는데, 선 밖으로 나갔더라도 갈퀴가 엎어져야 이긴다. 갈퀴 발이 하늘을 향한 경우는 패자가 되는데, 만약 진 사람이 둘 이상일 때는 이들끼리만 다시 던져서 마지막 한 사람을 가린다. 갈퀴를 던질 때 손잡이 끝을 두 손으로 잡아 어깨에 멘 다음, 손을 힘차게 밑으로 당겨서 갈퀴가 한 바퀴 돌아 선 밖으로 떨어지게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옆으로 던지거나 뒤로 던지는 내기도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갈퀴치기는 나무를 하러 다니던 아이들이 노동 과정에서 재미삼아 즐기던 놀이다. 비록 나무를 걸고 승부를 내어 다른 사람의 나무를 차지하기도 하지만 함께 어울려 놀이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친목을 도모할 수 있다.

[현황]

갈퀴치기는 나무를 땔감으로 사용하던 시절의 놀이였으나, 연탄이나 석유로 연료가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되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도 갈퀴를 가지고 이 놀이를 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가끔 볼 수 있다. 구리시에서는 특히 인창동 동구릉 주변에서 갈퀴치기를 많이 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