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81003
한자 住生活
영어공식명칭 Housing Life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신

[정의]

경기도 구리 지역의 주택과 주거지에서의 삶.

[개설]

주생활은 구리시 지역에 전승되어 온 전통적인 양식과 구조를 가진 주거 건축 및 가옥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활 행위이다. 주생활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는 자연 환경과 주민들의 생활 양식이다. 경기도 구리시는 과거 서울특별시 인근의 도농 위성 도시였으며, 특히 곡저 평야의 범람원 지역은 홍수에 노출되어 있어 큰 마을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현재는 구리시 전체가 도시화되면서 완전히 탈바꿈하였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주택은 과거 농촌형 단독 주택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다세대 주택 등 도시형 공동 주택으로 바뀌었다. 한편, 구리 시민의 연령대별 분포를 보면 50세 미만의 젊은 층이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등 인근 대도시에서 직장 생활을 영위하는 시민들도 상당수 있어 수도권 신도시 건설과 맞물려 베드 타운으로서 구리시를 선택하여 입주한 이주민들이 상당히 많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다.

[전통 시대의 구리 지역 생계 방식]

구리시는 서쪽으로 아차산을 경계로 서울특별시 노원구·중랑구·광진구와 접해 있고, 동쪽과 북쪽으로는 경기도 남양주시와 마주보고 있으며, 남쪽에는 한강이 흐르고 있고, 그 너머에 서울특별시 강동구·송파구와 경기도 하남시가 있다. 전통 시대의 구리시 지역은 한강 인근에 있으면서 홍수에 노출되어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마을들은 아차산 자락과 구릉 지대에 있었으며, 홍수에 노출되었던 지역은 구릉을 인위적으로 높여서 만든 돈대가 마을 단위로 있었다. 한편 경기도 구리시 갈매동·사노동·인창동 등 한강에서 비교적 떨어진 지역의 주민은 주로 농업에 의존했으며, 팔당댐 조성 이전 일부 한강 변 마을은 한강 상류 강원도 지역에서 산판한 나무로 뗏목을 만들어 한강을 통해 서울특별시의 뚝섬이나 마포에 있는 제재소에 보낼 때 뗏목과 뗏사공들의 중간 기착지였다. 따라서 구리시 지역 주민들은 크게 농민과 목상 및 뗏사공의 두 가지 생계 방식을 살았고, 마을과 살림집의 구성과 형태도 생계 방식에 따라 다르게 발전했다.

[현대 구리시의 주택 환경과 현황]

구리시는 아차산한강이라는 자연 요소 일부를 제외하면 사방이 대도시에 둘러싸여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의 도심은 물론 강남권과도 인접해 있어 시민들의 삶은 서울특별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실제로 상당수의 구리 시민이 직장 생활을 서울에서 하고 있다. 한편, 2013년 12월 말 기준[『통계 연보』, 2014] 구리시의 인구는 72,681세대에 191,029명인데, 주택은 60,140호로 94%의 주택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그중 아파트가 약 58%인 34,936호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기에 연립 주택[2,766호]과 다세대 주택[4,220호]을 합치면 거의 70%를 육박한다. 반면 단독 주택은 다가구 주택 15,522호를 포함해 총 18,218호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형 공동 주택이 구리시 주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80년 이전에 지은 주택은 1,497호로 약 2.5%에 불과하다. 2013년 기준 연령별 인구 분포는 40대 이하가 약 7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젊은 도시이자 아파트 건설과 함께 새로 이주한 주민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