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42047
한자 崔鶴松
영어공식명칭 Choe Haksong
이칭/별칭 서해(曙海),설봉(雪峰),풍년(豊年),아명 저곡(苧谷)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진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1년연표보기 - 최학송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7년 - 최학송, 간도로 이주
활동 시기/일시 1923년 - 최학송, 서해(曙海)라는 필명으로 시 「자신」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24년 - 최학송, 『조선 문단(朝鮮文壇)에 단편 「고국(故國)」이 추천되어 문단 등단
몰년 시기/일시 1932년 7월 6일연표보기 - 최학송 사망
출생지 성진 - 함경북도 성진시
거주|이주지 간도 - 중국 지린성
거주|이주지 서울 - 서울특별시
묘소|단소 망우리 공원묘지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산84-2지도보기
성격 소설가
성별

[정의]

경기도 구리시 망우 공원 묘지에 안장된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

[개설]

최학송(崔鶴松)[1901~1932]은 한문을 조금 배우고 보통학교를 다니다 중퇴하였지만 문학 잡지를 읽으면서 스스로 공부를 하였다. 1918년부터 1924년까지 중국 지린성[吉林省] 간도와 함경북도 회령군에서의 유랑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지주들의 착취로 고통받던 민중들의 삶을 글에 담았다. 조선 문단사에 들어가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하면서 극빈자의 자연 발생적인 반항을 주제로 많은 작품을 썼다. 자신의 경험을 소재로 1920년대의 식민지 조선의 상황, 삶의 터전을 빼앗긴 이농민들의 좌절과 해결책이 없는 나날의 절망을 사실 그대로 표현하였다.

[활동 사항]

최학송은 신경향파 문학의 대표적 작가이다. 소작농의 외아들로 태어나 유년 시절 한문을 배웠다. 성진 보통학교(城津普通學校)를 중퇴하였으며, 1917년 중국 길림성 간도(間島)로 이주하였다. 소년 시절을 빈궁 속에 지내면서 『청춘(靑春)』·『학지광(學之光)』 등을 읽으면서 문학에 눈을 떴고, 그때부터 이광수(李光洙)의 글을 읽고 사숙(私淑)하기 시작하였다. 방랑과 노동을 하면서 문학 공부를 계속하였다. 한때는 절망한 나머지 아편에 중독된 적도 있었다. 1923년 간도를 나와 국경 지방인 함경북도 회령에서 잡역부 일을 하기도 하였다. 15세 때 『학지광』에 투고한 산문시가 게재되었고, 1923년 서해(曙海)라는 이름으로 『북선 일일 신문(北鮮日日新聞)』에 시 「자신」을 발표하면서 문학 활동을 하였다. 이듬해 홍수로 가산마저 잃게 되자 작가로 출세할 결심을 하고 노모와 처자를 남겨둔 채 홀로 상경하였다. 1924년 『조선 문단(朝鮮文壇)』에 단편 「고국(故國)」이 추천되면서 문단에 등단하였다. 한때 이광수의 주선으로 양주 봉선사(奉先寺)에서 승려 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체험이 문학의 바탕이 되어, 조선 문단사(朝鮮文壇社)에 들어가 「십삼원」(1925), 「탈출기(脫出記)」(1925), 「박돌(朴乭)의 죽음」(1925), 「기아와 살육」(1925) 등의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일약 신경향파(新傾向派)의 유행 작가로 각광을 받았으며 신경향파 문학 기수가 되었다. 짧은 창작 기간을 통해 발표한 30여 편의 작품들은 대부분 최학송이 몸소 체험한 것이었다. 특히 「탈출기」는 자전적 요소를 강하게 지닌 작품으로 살길을 찾아 간도로 이주한 가난한 한 집안의 눈물겨운 참상을 그린 작품으로 신경향파의 대표적 작품으로 꼽힌다. 최학송의 작품은 간도와 회령군에서의 유랑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가난과 지주들의 착취 때문에 고통 받던 민중들의 삶을 간결하고 직선적인 문체로 표현하고 있다. 조선 문단사에서 사원이자 작가로 활동하면서 김동인(金東仁) 등 당대의 유명한 문인들과 접촉, 문단 생활로의 발판을 굳혔다. 그러나 조선 문단사가 경영난으로 휴간된 이후로는 여러 잡지사와 신문사를 전전하며, 궁핍한 생활을 하다가 말년에 방탕한 생활에 빠지는 등 약물 중독에 이르렀다. 1932년 3월 위문 협착증으로 수술을 받았으나 출혈이 심하여 7월 6일 서울 종로구 관훈동 삼호 병원에서 사망했다.

[학문과 저술]

최학송의 작품으로는 「큰물 진 뒤」(1925), 「폭군」(1926), 「의사」(1926), 「소살(笑殺)」(1926), 「홍염(紅焰)」(1927), 「낙백불우(落魂不遇)」(1927) 등이 있고, 창작집 『혈흔(血痕)』(1926)에 단편 11편, 『홍염(紅焰)』(1932)에 단편 3편이 수록되어 있다.

[묘소]

묘소는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망우 공원 묘지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