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11012
한자 九里市
영어공식명칭 Guri-s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손승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구리시청 -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로 439[교문동 390-1]지도보기

[정의]

경기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

[개설]

구리시는 경기도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다. 서쪽으로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랑구, 광진구 등지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남쪽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쪽과 북쪽은 경기도 남양주시, 동남쪽은 경기도 하남시와 접경을 이룬다. 수리적 위치는 동경 127˚ 06′ 05″[구리시 교문동] - 127˚ 10′ 25″[구리시 토평동]에 걸쳐 있고, 북위 37˚ 33′ 10″[구리시 교문동] - 37˚ 39′ 50″[구리시 갈매동]에 이른다. 동서 간의 거리는 6km이고, 남북 간의 거리는 9km에 달한다.

구리시의 행정 구역은 갈매동, 동구동, 인창동, 교문 1동, 교문 2동, 수택 1동, 수택 2동, 수택 3동 등 8개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이들을 구성하는 법정동은 갈매동, 사노동, 인창동, 교문동, 수택동, 아천동, 토평동 등 7개이다. 구리시청구리시 교문동 아차산로 439[390-1]에 있다. 구리시의 꽃은 철쭉, 나무는 은행나무, 새는 비둘기, 마스코트는 아리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명칭 유래]

구리(九里)라는 명칭은 1914년 일제 강점기 행정 구역 개편 때 경기도 양주군에 속하였던 망우리면(忘憂里面)구지면(九旨面)의 대부분 지역, 그리고 인접한 노원면, 진관면, 별비면, 미음면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면서 구지면의 '구'자와 망우리면의 '리'자를 합하여 생겨났다. ‘구지’의 한자 표기는 구지(龜旨)가 일반적이었지만 구지(九旨)라는 표기도 함께 이용되었다. 구지라는 표기는 땅이 돌출한 부분을 가리키는 ‘곶’이 ‘고지’로 변화하였다가 이후 ‘구지’로 변하였고, 이를 한자화하면서 구지(龜旨) 혹은 구지(九旨)라 표기한 것으로 전해진다.

[행정 구역 변천]

구리시는 경기도 양주군 구지면망우리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일제 강점기 행정 구역 개편 때 양주군 구리면이 되었다. 1914년에 처음으로 구리라는 지명이 생겨났으며, 당시의 구리면에는 묵동리, 중하리, 상봉리, 신내리, 망우리, 인창리, 사노리, 교문리, 수택리, 토평리, 아천리, 갈매리 등의 12개 리가 포함되었다. 당시 구리면의 면소재지는 인창리였다. 1955년 8월 구리면 사무소가 인창동에 신축 이전하였다. 1963년 1월 1일에 지금의 서울특별시 행정 구역이 획정되면서 당시 구리면에 속하였던 묵동리, 중하리, 상봉리, 신내리, 망우리 등 5개 리가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으며, 양주군 구리면은 7개 리로 편성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양주군 구리읍으로 승격하였다. 1980년 4월 1일에는 남양주군이 양주군에서 분리 신설되면서 남양주군 구리읍이 되었다. 구리읍의 인구 증가와 함께 1986년 1월 1일에 구리시로 승격하면서 남양주시에서 분리되었다. 면적은 33.3㎢로, 경기도의 31개 시군 가운데 가장 면적이 좁은 자치단체이다.

[인구 변화]

18세기 중반에 간행된 『여지도서』에는 당시 구지면에 488호 1,558명이 거주하였고, 망우리면에 233호 888명이 살았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789년에 간행된 『호구총수』에서는 구지면에 425호 1,920명, 망우리면에 308호 1,242명이 거주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중기까지의 인구 조사 자료가 정확성이 다소 부족한 면은 있지만, 지금의 구리시에 해당하는 지역에 어느 정도의 인구가 거주하였는지를 대략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실시된 인구 총조사는 1925년이다. 1925년 당시 구리면에는 1,688호에 8,757명[남 4,485명, 여 4,272명]이 거주하였으며, 여성에 비해 남성의 인구가 많았다. 1930년에는 9,078명으로 증가하였으며, 1935년 1만 359명으로 1만 명을 돌파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의 인구 총조사에서는 1만 7902명을 기록하였다. 1960년 이후 우리나라의 통계청에서 조사한 구리시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매 5년 단위로 인구 총조사가 진행되지만, 1965년의 인구 총조사는 실시되지 못하였고 이듬해인 1966년에 실시되었다. 1960년 2만 2285명, 1966년 1만 4195명, 1970년 2만 7735명, 1975년 4만 5364명, 1980년 6만 6490명, 1985년 8만 3988명, 1990년 10만 9374명, 1995년 14만 2173명, 2000년 16만 839명, 2005년 18만 7414명, 2010년 18만 5550명이다. 1966년에 인구가 감소한 것은 구리면에 속하였던 5개 리가 서울시에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2007년 이후 구리시의 인구 규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구리시에서 발표한 2014년 말의 인구는 18만 6820명[남 9만 3217명, 여 9만 3603명]이다. 동구동의 인구가 가장 많고 갈매동의 인구 규모가 가장 작다.

[산업 활동]

구리시에 위치한 사업체 수는 2013년 기준 1만 2677개이며,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사업체 종사자 수는 5만 5294명이다. 사업체는 도매 및 소매업이 3,633개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 2,334개, 운수업 1,472개 등으로 많다. 종사자 수는 도매 및 소매업 1만 2060명, 숙박 및 음식점업 7,690명, 교육 서비스업 5,262명, 운수업 3,408명의 순이다.

2013년 기준으로 구리시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농가는 535가구인데, 이 중 394가구가 겸업농가이다. 순수하게 농업에만 종사하는 농가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농업 이외의 산업 활동을 겸하는 농가의 비중이 크다.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1,779명이다. 제조업은 식료품 가공업체가 117개이며, 섬유 제품 제조업체 35개, 의복 관련 업체가 90개, 가죽 및 신발 제조업체가 53개, 인쇄 관련 업체 17개, 종이 제품 관련 업체가 14개소 등이 있다.

[토지 이용]

구리시에서 이루어지는 토지 이용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은 임야이다. 임야는 구리시 전체 면적의 36.7%에 달한다. 그 뒤를 이어 토지 이용의 비중이 큰 지목으로는 전체의 13.7%를 차지하는 밭, 대지[12.1%], 하천[11.8%], 도로[9.2%], 논[3.8%] 등이다. 농경지에 해당하는 논과 밭을 비롯하여 임야의 면적은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과수원의 면적은 최근 들어 소폭이나마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시화의 진행과 더불어 도로와 대지의 면적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